Dokcer

docker hub 사용법

땍땍 2024. 8. 18. 19:04

docker hub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docker 계정이 필요한데, 아래 링크에 접속하여 생성 해주자.

https://www.docker.com/

이후 로그인을 위한 도커 토큰 발급이 필요한데 우측 상단의 프로필 사진을 클릭 한 후

Account settings →

Personal access tokens →

필요에 따라 선택 후에 Generate를 눌러주면 된다.

이번에는 push pull을 사용하기에 Read&Write로 생성하였다.

토큰이 발급되면 아래와 같이 어떻게 로그인해야되는지 친절하게 설명해주는데, 이걸 터미널에 입력하여 로그인을 해주면 된다.

이후, 서버 쪽에도 토큰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하여야하기에 토큰 값은 저장해두길

로컬에 이미지 혹은 dockerfile이 존재하지 않거나 도커 사용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아래 글을 참고.

https://taekt.tistory.com/7

우선 Dokcer hub에 올릴 이미지가 필요하기에 없는 사람은 아래 명령어를 작성하여 생성해준다.

여기서 이름은 자유롭게 생성해도 되지만, 가능하다면 [docker hub 계정이름]/[이미지 이름] 으로 생성해주는 것이 좋다.

ex) account/test

# docker build -t [이름] .
docker build -t test1 .

맥북에서 build한 이미지는 ubuntu와 window등과 호환성이 맞지 않기에 실행이 안되는 오류가 발생하기에

만약 로컬에서 맥북을 이용하고 서버에 올릴 예정인 사용자라면 아래와 같이 build 해주자.

# docker build --platform linux/amd64 -t [이름] .
docker build --platform linux/amd64 -t test1 .

이미지가 잘 생성이 되었는지 확인해 주고

docker images

 

아래와 같이 push하면 끝이다.

docker push [이미지명]

단, 위에서 build 시에 이름을 [docker hub 계정이름]/[이미지 이름] 로 설정하지 않은 사람은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할텐데,

denied: requested access to the resource is denied

이럴 경우 tag를 설정해주어야 한다.

docker tag [이미지명] [docker hub 계정이름]/[이름]

이후 push를 하면 오류 없이 docker hub에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후 docker hub의 이미지를 pull 하려면, 해당 환경에서도 docker login을 다시 진행해주고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작성하면 된다.

docker pull [이미지명]